이필 교수



학력
⦊시카고대학교(The University of Chicago) 미술사학과 박사
-전공: Contemporary Art and Photography
-부전공: Museum Studies
-박사학위논문: Art Photography and the Contentions of Contemporary Art: Rhetoric, Practice and Reception
석사학위논문: Cindy Sherman’s Untitled Film Stills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석사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학사
경력
2022~현재
현대·예술·사진학회 회장

2015~현재
열린미술연구센터(OpenArts) 대표

2020~현재
『사진예술』 자문위원

2017~2022
예술경영지원센터 <임충섭 디지털 아카이빙 및 업데이트 사업> 책임연구원

2016~2020
한국미술평론가협회 국제분과 위원장

2017
서울사진축제 특별전 《공존의 스펙트럼》 큐레이터

2016~2017
예술경영지원센터 단색화 영문자료집 자문 및 편집위원

2014~2015
국립현대미술관 웹진 Art:mu 편집위원

2014
국제미술평론가협회 총회(AICA Congress) 사무국장

2013~201
홍익대학교·한국예술종합학교·상명대학교 강사

2010~2012
시카고예술대학(SAIC) Instructor

2011~2012
시카고대학교(The University of Chicago) Lecturer

2006~2007
Chicago Art Journal 아트 에디터

2006~200
시카고미술관(The Art Institute of Chicago) 큐레이토리얼 펠로우

2004~2005
시카고대학교 MFA 프로그램 큐레이터

2004~2005
스마트미술관(Smart Museum of Art) 현대미술&사진분과 큐레이토리얼 인턴

2001~2002
Washington Sculptors Group 주어러/아트디렉터

1996~2000
안동대학교·서원대학교 강사 /div>
전시진행
2017 《공존의 스펙트럼》 서울사진축제 특별전
2006-2007 Rhoades Curatorial Fellow, Photography Department,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IL
2005 《Research & Development》, Little Black Pearl, Chicago, IL
2004-2005 Curatorial Intern, Department of Contemporary Art and Photography, The Smart Museum of Art,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IL
2002 《Sculpture 2002》, Washington Square, Washington D.C.
2000 《불-임》전, 한국문예진흥원
논문
-“The Memory Struggle: Archives of Postmemory in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photographies14:1(2021): 153-164.
-「1970년대 한국추상회화에 있어서 작위(作爲)와 무위(無爲)의 역설: 이일의 ‘범자연주의’와 박서보의 ‘무위론’을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제54집(2021):233-252.
-「임충섭 작업에 나타난 오브제의 미학과 스토리텔링」, 『한국예술연구』 제23호(2019):123-147.
-「뉴 뮤지올로지(New Museology) 방법론의 유효성과 비판적 수용」, 『미학예술학연구』 제56호(2019):295-321.
-“Joan Kee, Contemporary Korean Art: Tansaekhwa and the Urgency of Method,” caa.reviews (October 2017)
-「포스트포토그래피 시대의 초현실주의의 귀환」, 『미학예술학연구』 제51집(2017):31-63.
-「억압으로부터 자유로 흘러온 서사: 해체와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한국 여성/주의 미술」, 『현대미술사연구』 39(2016.6):105-132.
-「국제학술대회 유치를 통한 한국 미술의 국제화 방안 모색: 《2014 AICA 학술대회 및 총회》 한국 개최의 성과와 과제」, 『미학예술학연구』 제46집(2016):295-328.
-「현대 예술사진의 변혁과 비평의 동시대성 문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6.2):309-340.
-「예술사진과 현대미술의 지형도 변형: 갤러리스트로부터 콜렉터, 그리고 미술관으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5.2):255-279.
-「사진의 혼성적 공간:프란체스카 우드만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진」, 『현대미술사연구』 (2014.6):59-86.
-「Representing Identity in Flow: Xu Bing’s Art since Immigration (1991-2003)」, 『미술사학보』 제37집(2011.12):251-274.
-「The Politics of Revolution and Negotiation: Marcel Broodthaers’s Museum of Modern Art Project」, 『미학예술학연구』 제34집(2011.12):355-382.
-「미국 모더니즘 예술사진 비평과 미술비평의 정치학: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와 클레멘트 그린버그를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제32집(2010):101-139.
-「Cindy Sherman’s Untitled Film Stills: An Alternative Perspective」, 『미학예술학연구』 제29집(2009.6):203-232.
-“Indefinite ‘Nikkis’ in a World of Hyper-reality: An Interview with Nikki S Lee,” Chicago Art Journal 18(September 2008):76-93.
학술지 외
-「비가시성으로 남은 역사의 소환:재독 한인 간호 여성들이 채운 여성 주체의 공간」, 『미술평단』 2020 봄호
-「무의식의 원형(原形)으로서의 원형(圓形) 탐구: 정현숙의 원 시리즈」, 『미술평단』 2019 여름호
-「이일의 추상미술론에 나타난 한국의 자연관과 정신성」, 『미술평단』, 2017 겨울호
-「한국적 추상의 결정체, 유영국의 산」, 『유영국 저널』, 2017.11.
-「유영국: 이중의 식민성을 헤치고 피어난 한국 고유의 추상」, 『미술평단』, 2016 봄호
-「타고난 ‘서민적 리얼리스트’ 장리석, 그 백년의 예술」, 『미술평단』 2016 봄호
-「글로벌 미술사에서 한국 실험미술의 부재: 60/70년 한국현대미술을 세계적 개념미술 운동에 포함하기」, 2016 부산비엔날레 학술대회 자료집
-「비엔날레에서 소통의 문제: 담론(Discourses)에서 대화(dialogs)로, 그리고 이야기(talks)로」, 2015 부산비엔날레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니키 리: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무는 다중적 니키와 그 일루전의 세계들」, 『미술평단』 2010 봄호
-「사이보그:뜨거운 몸에서 차가운 몸으로의 전이」, 『미술과 담론』 1999 겨울호
-「존재를 응시하는 침묵의 네러티브:정보영」, 『미술과 담론』 1999 봄호
-「키치적 사물의 아이러닉한 전도:최정화」, 『미술과 담론』 1999 봄호
-「생물학적 피드백에 의한 탈담론화 현상:오상길」, 『미술평단』 1998 여름호
-「상징도상으로 그려낸 무한성의 수용공간:이상남」, 『미술평단』 1997 겨울호
-「김기린의 흑백 그림 읽기」, 『미술평단』 1997 여름호
-「해부학은 숙명인가」, 『미술평단』 1996 겨울호
-이외 미술평론 100 여편
저역서
-David Bate(2016), 『사진의 주요 개념』, 열화당, 2023(공역)
-“Jung Kang-Ja: A Pionner of Korean Experimental Art of the 1960s and 1970s,” in Transnational Perspectives on Feminism and Art, 1960-1985, eds. by Jen Kennedy, Trista E. Mallory, and Angelique Szymanek (New York:Routledge), 2021, 154-168.
-“The Trans-territorial Photographic Tableau,” in Jungjin Lee ECHO(Leipzig Germany: Spector Books), 2018, 57-67.
-Dansaekhwa 1960s-2010s: Primary Documents on Korean Abstract Painting, (Seoul:KAMS), 2017(공편)
-“Yang Fudong’s Meta-Film: Surreal Longing Expressed in Cinematic Magnificence and Extravagant Luxury,” Daegu Museum of Art/ShanghArtGallery, 2016, 88-104, China/Korea
-「마대작가 하종현의 비회화적 회화」, 『단색화 미학을 말하다』, 마로니에북스, 2015
-니콜라스 미르조예프, 『바디스케이프:미술, 모더니티, 그리고 이상적인 인물상』, 1999(공역)
수상
2022 원로작가 디지털 아카이빙 업데이트
2020 시각예술비평가-매체 매칭 선정비평가
2019 아모래퍼시픽재단 여성과 문화
2017 원로작가 디지털 아카이빙
2016 예술경영지원센터 미국감정가협회(AAA) 연수
2011 Joel Snyder Fellowship
2009 The Dowley Scholarship & Visiting Committee on the Visual Arts
2008 The Visiting Committee on the Visual Arts Fellowship
2006 The Rhoades Fellowship
2006 The Visiting Committee on the Visual Arts Fellowship
2006 The American Friends of the Chagall Biblical Research Fellowship
2005 The Smart Foundation Fund
2002 University Endowed Fellowship
2000 한국문예진흥원 우수전시 기획상